본문 바로가기
재밌는글

선택적함구증 증상

by ***^***** 2020. 7. 3.

선택적함구증 증상


안녕하세요. 이전 보다 시대가 바뀌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우리는 이런 현시대에 적응하고 있다는 생각은 가지고 있지만 신체나 정신적 건강은 아직 뒤쳐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불안장애 범위에 속해져 있는 선택적함구증은, 특정한 사회의 상황에서 말을 하지 않거나, 언어적으로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오늘은 선택적함구증 증상과 원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적 의사소통

 

단어 뜻 그대로 자신이 상황을 선택하면서 말을 하지 않는 함구증상을 일컫는 말인데, 이렇게 상황에 따라서 말을 하지 않는 증상이 30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라면 선택적 함구증이라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정신적 건강이 안좋아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이해 했었지만 요즘에는 불안장애의 한 종류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선택적 함구증의 조건

 

- 직업적 성취나, 학업적 성취를 위한 사회적 의사소통이 방해받는 경우

- 보통 상황에서는 말을 할 수 있지만 특정상황에서는 말을 잘 하지 못하는 경우

- 이런 증상이 30일 이상 지속된 경우와, 충분히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언어적 능력이

있지만 선택적으로 함구하는 경워

 

특정상황에서 나타나는 증상이 있을 수도 있지만 자신과 가까운 삼촌이나 할아버지, 할머니들과 말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발표나 책읽기 같이 특정 조건이 생기는 경우에서도 말을 하기를 싫어하기 때문에 학업성취 측면에서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영향을주는 조건

 

선택적 함구증이 발병하게 되는 경우는 보통 5살 이전인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이 가정을 벗어나 다른 상황에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경험이나 기회가 거의 없다 시피하며 유치원에 가서도 특정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하지 않더라도 불편함을 느낄 것이 없기 때문에 딱히 이상할 것은 없어보이지만 학교에 입학하기 시작하면서 부터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하는데 있어 많은 불편함을 겪을 수 있습니다.

 

나이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함구증상이 조금씩 없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만, 이런 증상은 사회적으로 고립이되는 현상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친구들이 괴롭히고 싶어하는 타겟이 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간단히 선택적함구증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시대의 흐름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누구나 정신적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이전에는 그렇게 문제가 되지 않았던 부분들이 재조명 되면서 심각한 문제로 자리잡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증상이 있는 분이라면 치료를 하시는 것이 맞겠죠. 앞선 내용참고하셔서 간단히 증상을 참고해 보시기 바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