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무상태표 확인하기
재무상태표 보기
코로나 19로 인해서 많은 분들이 주식에 대해 관심을 가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목돈 들여 투자하는만큼 투기가 되어서는 안될텐데 이 기준이 되는것이 바로 재무상태표를 확인해서 기업의 상황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느냐에 따라 나뉘게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입니다. 국제회계기준인 IFRS를 확인하게 되면 투자를 하는데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오늘은 재무상태표 보는방법에 대해 안내하도록 하겠습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참고하여 보세요!
부채항목 알아보기
재무상태표를 보게되면 많은 정보들을 확인 해 보실 수 있습니다. 비유동 부채와 유동부채 등 여러 가지 항목들을 확인 해 보실 수 있는데 간단하게 유동부채란 1년내에 갚아야하는 부채의 금액으로 생각하시면됩니다. 단기 미지급금과 차입금 기타지급채무 등 여러갖지 항목들이 있는데 재무상태표를 자세히 알지는 못하더라도 꼭 분석을 해야하는 이유는 앞으로의 동향을 조금이나마 예측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유동자산
유동자산은 재고자산과 당좌자산으로 나눠 볼 수 있습니다. 유동자산이란 기업에서 현금화해서 쓸 수 있는 자금력을 말함으로 유동자산이 없는 기업에 섣불리 투자하시는것은 어느 정도 위험을 감수 해야만 하겠죠. 단기투자상품이나 단기금융상품 현금성 자산들이 유동자산에 포함이되고 현금화시기는 아무도 알 수 없겠지만 충분히 참고는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기업 자본
재무상태표를 보게되면 기업자본에 대한 부분 또한 확인 해보실 수 있습니다. 기타자본과 자본잉여금, 이득잉여금으로 나뉘게 되어 있는데 잠식 부분에 대해서도 확인해야 할 부분이 있으니 확실히 살펴보시는것이 좋습니다. 포인트는 기업 재무상태표를 확인하실 때 유동자산이 많은지 부채비율이 많은지만 확인을 하시더라도 투자를 하는데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는것입니다.
오늘은 간단히 재무상태표를 보는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무런 정보가 없이 투자하는것과 기업의 재무상태표를 보고 투자하는것은 나름 다른 부분입니다. 흔히 말하면 정보가 있는것과 없는것의 차이는 눈을감고 뜨고 투자를 하는것과 마찬가지이기도한데 장기투자자 관점에서 생각을 해본다면 충분히 활용할 부분이 많은것 같습니다.